변동성 아몰랑~ 테슬라, 찻값도 비트코인으로?
변동성 아몰랑~ 테슬라, 찻값도 비트코인으로?
  • 김현동
  • 승인 2021.02.09 12: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1년 02월 09일] - 괴짜 일론 머스크는 어쩌다가 비트코인에 푹 빠진 것일까? 우주에 빠져 민간 우주 탐사기업 스페이스X를 창업했고 전기차에 빠져 전기차 제조기업 테슬라를 창업했으며 다음 스텝은 가상화폐에 빠져 비트코인 구매에 거액을 들였다. 이 같은 내용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테슬라가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밝혀졌는데,


머스크가 사들인 비트코인은 약 15억 달러(한화 약 1조 7,000억 원)에 달한다. 지난 18년에 불과 0.25비트코인이 전부라고 할 정도로 코인에 무심하던 그가 3년 만에 예찬론을 펼치는 형국이 탐탁지 않다. 심지어 채굴 과정에 전력 낭비가 심하다고 지적할 정도로 비관적으로 평하던 그다. 수년간 에너지 효율 높이는 데 광적으로 집착했던 그의 행적을 보면 비난하는 모습이 지극히 어울린다. 그러던 모습이 뒤바뀐 셈이다.

물론 생각은 여건에 따라 뒤바뀔 수 있고, 더구나 재산만 수조 원에 달할 정도로 여윳돈이 넘쳐나니 비트코인 정도에 투자할 수 있다 치면 될까? 하지만 머스크의 태세 전환이 급변하게 이뤄진 현상을 가볍게 볼 수는 없다. 그가 운영하는 테슬라에서 제조한 전기 자동찻값을 비트코인으로 결제 할 수 있게 만들겠다는 복안 때문이다.

그렇다면 얼마를 받으면 제대로 받는 걸까? 문제가 출발하는 시점이다.

변동성 없이 늘 정해진 가치가 어디서나 인정받는 법정 재화와 다른 특성을 보인 디지털 자산이 바로 비트코인이다. 더구나 여느 가상화폐 보다 여론의 관심을 한 몸에 받는 덕분에 변동성이 널뛰기하는 비트코인은 최근 3개월 그래프만 봐도 들 쑥 날 쑥이다. 게다가 지나치게 과열되어 손을 대기도 힘들다. 거래가격만 한화 4천만 원을 넘겼다. 사실상 기준가를 어디에 두냐가 관건인데 기준에 따라 반응이 엇갈린다.

보유한 구매자로서는 상승세가 유리하고, 구매 예정자에게는 하락세가 유리하다. 기준을 정하자는 것에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쳐도 시장에서도 상반되는 시선이 첨예하게 대립각을 세우는 형국이기에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주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관계에서 합의안이 나올지도 물음표다. 애초에 비트코인 자체가 한정 수량을 내걸었고, 채굴이라고 하지만 지나 보니 결국 대형 자본이 투입되어야 나오는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가진 자의 또 다른 투자 수단이 명백했다.


수억 원을 들여 채굴장을 구축했더니 전기 먹는 하마를 연상시켰고, 자원을 태워 만든 비싼 전기 에너지는 가상화폐와 채굴하는 노잣돈으로 쓰였고, 이 무렵에 전 세계에서 발의되는 탄소배출 총량 제한은 가상화폐의 채굴 이득과는 정면 대치되는 형국으로 부상했다. 시선을 달리 보면 오히려 화폐보다는 전기차가 더 친환경이며, 미래를 위해 정부가 공들여야 할 사업이다.

결과적으로 머스크의 예찬론 덕분에 비트코인 값은 연일 상한가를 기록했다. 그와 동시에 회사가 구매한 코인의 가치 또한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사회가 구매를 결정 내린 기점이 지난 1월이라고 했고, 그 사이에 대량으로 구매했다고 가정하면 머스크의 발언으로 폭등했으니 1조 원 넘는 투자 대비 적잖은 수익성이 담보된 상태다. 부자가 슈퍼 부자가 되는 길은 평범한 일반 대중이 부자 반열에 오르기 보다 더 쉽다는 것을 방증했다.

어찌 되었건 코로나 사태로 디지털 전환은 예상하던 것보다 빠르게 전개됐다.

덕분에 중앙은행이 발생하는 전자화폐, 암호화폐 등으로 불리던 디지털 화폐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에 관한 논의도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베네수엘라(페트로), 스웨덴(e-krona), 이스라엘(디지털세켈), 중국(디지털위안) 등이 대표적이다. 비트코인에게는 불리한 변화다. 따라서 늦기 전에 제도적 발판을 다지지 않을 경우 문제가 될 가능성도 있다.

이보다 먼저 산업계가 나서 다양한 명칭으로 도입한 PAY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물론 아직은 현금과 기준가치가 1:1이라는 점에서 사실상 법정 재화와 별반 다를 게 없지만, 만약 비트코인 같은 가상화폐가 변동률을 최소화할 대책만 제대로 강구한다면 그 순간 둘의 경계가 무너지는 건 시간문제다.

물론 그럴 가능성이 제로라는 것에서 위안 삼을 수 있다.

하지만 예상이 뒤바뀔 경우를 예측해보면 그리 단순하게 볼 문제가 아니다. 결정적으로 탈세의 수단이 될 가능성 때문이다. 많은 국가는 은닉한 검은돈을 추적하기 위해 비싼 대가를 치러야만 했고 지금도 치루도 있다. 더욱이 비트코인은 시작부터 사이버 범죄에 악용되는 핵심으로 출발했다. 랜섬웨어 사건은 여전히 기업을 공포에 떨게 만든다. 사이버 인질극을 벌이고 피해를 본 기업에 비트코인을 대가로 요구했다.

그렇게 갈취한 가상화폐가 법정통화로 바뀌는 시점이 도래한다면.

누가 얼마나 지니고 있는지 확인도 안 되는 자금은 관리할 수 없다. 그 자체가 중앙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기에 애초에 거래 진행 시 발생하는 세금을 합법적으로 거둬들이기 어려워지고, 이 과정이 생략된다면 정부도 거래액을 추산만 가능할 뿐 집계가 어렵다. 검은돈은 자연스럽게 시중으로 파고들어 또 다른 범죄를 일으키는 자본으로 쓰일 확률도 커진다.


돈 앞에서는 국경도 마찬가지로 무너질 수 있다. 어디에서나 거래가 이뤄진다면 굳이 환전 같은 번거로운 절차를 거칠 필요도 없기에 고삐 풀린 망아지를 연상케 하는 비트코인이라는 수단은 누구의 통제도 관리도 받지 않는 사각지대에서 쓰이기에 딱 좋은 수단이다. 민간이 서비스하는 전자화폐 정도의 눈높이로 보는 것 자체와는 완전히 다른 문제다. 예상치 못한 화폐 전쟁의 불씨가 될 파급력을 비트코인이 지니고 있다.

단지 투자 수단이던 비트코인이 머스크 효과를 등에 업고 시중에 나오려 한다. 이에 대한 정책은 충분히 마련되었을까? 지금까지 다양한 시나리오는 나열했지만 현실은 백지장이다. 그렇더라도 우리는 지금이라도 비트코인을 사들여야 할까? 이에 대한 답 또한 발행 총량과 누가 얼마만큼의 코인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불투명하다면 신중론이 현명하다.

물론 하이리스크 하이리턴라는 명제는 변함없다.


By 김현동 에디터 hyundong.kim@weeklypost.kr
〈저작권자ⓒ 위클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